연속 텀블러 제어 판넬

터치 스크린 (Tourch Screen ; HMI) 조작 매뉴얼

미래텍 연속덤블러
미래택 연속덤블러

1. 메인 화면

연속덤블러
1. 챔버 “입구롤러”와 입구 “건조시린더”는 구동 모터를 공유합니다. 즉, 한 개의 모터가 “건조시린더”와 “입구롤러”를 함께 구동합니다. 터치화면에서 1번은 “건조시린더”와 “입구롤러”를 구동하는 모터의 동작상태를 표시합니다. 이 표시등이 회색이면 구동선택 스위치가 꺼져 있으며 적색일 때는 동작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단, 적색으로 깜박일 때는 모터가 회전하지는 않지만 스위치가 켜져 있음을 표시합니다. “입구롤러”를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하는 스위치는 입구조작 박스에 설치 되어 있으며 각 챔버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어할 수 있습니다.

2. “출구롤러”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는 출구 조작박스와 각 챔버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색일 때 구동선택 스위치가 꺼져있고 적색일 때는 동작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적색으로 깜박일 때는 모터가 회전하지는 않지만 스위치가 켜져 있음을 표시합니다.

3. “진락(후루도시)“ 표시등이 회색일 때 구동선택 스위치가 꺼져있으며 적색일 때는 동작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또한 적색으로 깜박일 때는 모터가 회전하지는 않지만 스위치가 켜져 있음을 나타냅니다. 단, “진락(후루도시)“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는 출구 조작박스에 만 있습니다.

4. “냉각”표시등은 마지막 챔버 출구에 설치된 ON/OFF 구동 선택 스위치에 의해 동작합니다. 회색일 때 구동선택 스위치가 꺼져있으며 적색일 때는 동작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또한, 적색으로 깜박일 때는 모터가 돌지는 않지만 스위치가 켜져 있음을 나타냅니다.

5. “X-ROLLER ON(OFF)" ,"O-RING GUIDER ON(OFF)" : 원단 확포를 위해 입구에 설치된 X-ROLLER와 O-RING GUIDER 상태를 표시합니다. 이 표시등이 깜박일때는 지금은 동작하지 않지만 ”작업시작“ 스위치가 들어가면 동작됨을 나타냅니다.

6. “BELT GUIDER ON(OFF) & "O-Ring GUIDER ON(OFF)" : 출구 원단 확포를 위해 설치된 가이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합니다. 이 표시등이 깜박일때는 지금은 동작하지 않지만 ”작업시작“ 스위치가 들어가면 동작 됨을 나타냅니다.

7. 입구무게 >> □□.□ Kg 는 본체의 기준이 되는 입구 무게를 표시합니다. 입구 무게에 의해 입구롤러의 속도가 결정됩니다. 즉, 입구 무게가 낮거나 없으면 속도는 빨라지고 많으면 속도가 늦어집니다.

기준무게 설정은 메인판넬에 설치된 마스터(MASTER)전자저울의 F-63을 통해 설정합니다.


8. 챔버의 현재온도와 설정온도를 표시합니다. 별도로 설치된 온도계와 표시 값은 동일합니다.

9. 챔버 온도설정을 위해 여기를 터치합니다. 별도로 설치된 온도계가 챔버의 온도를 직접 제어하지만 온도설정은 반드시 메인 터치스크린과 각 조작박스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해야 합니다.
연속덤블러
각 챔버의 현재온도가 표시되고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출력량은 실재 버너 사용 중 화염을 제어하기 위한 출력량을 % 단위로 표시합니다. 온도설정은 각 챔버에 설치된 모니터용 터치스크린을 통해 할 수 있으면 주의 하실 점은 온도계에서 직접 설정은 할 수는 없습니다. 메인화면으로의 이동은 “메인화면” 아이콘을 눌러야 합니다.

10. ROLL & DRIVER CHECK.
연속덤블러
  1. 지령주파수 : 작업자가 설정한 속도를 계산하여 지령주파수를 정합니다.
  2. 출력주파수 : 인버터가 모터를 직접 구동하는 주파수입니다. 인버터가 모터의 속도를 제어할 때 주파수를 변경하여 제어합니다. 실재 모터의 속도는 출력주파수에 상수 30(4극 모터일 때)을 곱하여 나타냅니다. 즉 출력주파수가 60.00Hz일 때 30을 곱하면 1800rpm이 됩니다.
  3. 출력전압, 출력전류 및 출력 전류 : 현재 모터에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4. 저울출력(U1-14) 입구 속도를 제어하기위해 설치된 마스터 전자저울의 무게 값은 아나로그 전압 값 (10,00V~0.00V)으로 출력됩니다. 즉 원단이 없으면 최고전압 10.00V가 출력되어 고속으로 회전하게 하고 원단이 최고로 많을 때 0.00V에 가까운 전압이 출력되어 저속이 되도록 합니다. 이 값의 변화를 눈여겨 봐뒀다가 제어가 안정치 않다면 이 값의 변화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5. Q1-02 WRITE & Q1-02 READ : 속도 설정을 위한 값으로 고속이면 값이 올라가고 저속이면 값이 낮아집니다. 속도 변동 중일 때는 두 값에 차이가 나지만 속도가 안정되면 두 값은 동일해 집니다.
  6. VR접압 U1-14 : 진락(후루도시)의 속도를 제어하는 볼륨(VR)의 출력 전압을 나타냅니다. 출구 조작박스에 설치된 진락 VR을 돌려도 이 값이 변하지 않는다면 볼륨(VR)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7. 인버터 제어비율 (Q1-01) : 속도제어 비율을 설정합니다. 시운전시 최적의 값으로 설정합니다. 재설정이 필요할 때 인버터 매뉴얼을 확인하여 인버터에 직접 설정하여야 합니다.

11. 설 정 [SETUP] : 메인화면에서 화면 좌측 하부의 [설정] 아이콘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설정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연속덤블러
  1. 텍스터 가이드의 비상리미트 스위치 작동시 운전방법을 선택합니다. 버저ON 혹은 설비 정지. (비상리미트가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입구마스터 전자저울의 상한값 출력시 운전 방법을 설정합니다, 버저ON 혹은 입구롤러(건조시린더 포함) 정지.
  3. 입구원단감지 센서가 있을 경우 사용 방법을 선택합니다.
  4. 진락장치에 포함된 “정전기 제거장치”의 사용방법을 설정합니다. 자동사용 선택시 설비가 작동할 때 ON합니다.
  5. 판넬 내부 형광등의 운전 상태를 제어합니다. 자동으로 설정하면 문을 열며 켜지고 닫으면 꺼집니다.
  6. 집진기 스크랩퍼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동작 시켜 수명을 연장 시킵니다.
  7. 크리너는 발생하는 먼지 상태에 따라 횟수와 작동 간격 시간을 설정하여 수명을 연장 시킵니다.
  8. 버너 점화 중 FAN정지 스위치를 누르면 FAN은 정지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FAN OFF예약 상태가 되어 버너가 OFF되면 설정한 시간 후 FAN이 자동 정지합니다.
  9. 설비 정지시 이전 속도 값을 기억할 것인지 리셋(0 으로)할 것인지 선택합니다.
  10. 챔버 조작박스에 설치된 냉각FAN의 운전 방법을 선택합니다. 항상ON 혹은 설비 운전시 ON.
  11. 입출구 가이더에 비상 리미트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 방법을 “설비정지”로 선택했을 때 설비 정지를 위한 대기 시간을 설정합니다. 단 리미트가 없으면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12. “방향전환 동작확인 지연 시간”은 챔버에 설치된 3색등의 알람 표시둥(황색등)을 위한 설정 시간입니다. 설정된 시간동안 방향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황색 알람표시등이 ON 됩니다.
  13. “자동영점” 설정시간은 챔버의 방향전환 동작이 "출구 > 입구"동작이 설정 시간 이상 동작할때 실제 원단의 무게가 아닌 무게 값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전자저울을 자동 리셋하기 위한 시간입니다. 만약 “자동영점”을 위한 설정시간이 너무 짧아 정상적인 원단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자동영점”을 실행하면 더 나쁜 상황을 초래하므로 충분히 확인 후 설정합니다. 단, “자동영점” 설정 시간이 0.0 일 때 “자동영점” 작업은 실행되지 않습니다.
  14. “크리너 리미트 스위치 동작 확인 시간“은 크리너의 동작 시간을 확인하여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알람이 발생되었다 사라지면 설정 시간이 너무 짧은 경우입니다.
  15. “버너 점화실패 확인 시간“ 버너 사용시 설정한 시간 내에 점화성공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알람을 발생합니다.
  16. “버너 PURGE TIME ON 유지시간” 버너 OFF시 불완전 GAS 배출을 위한 PURGE 시간으로 버너를 OFF하여도 설정 시간동안 버너의 전원은 OFF되지 않습니다.

12. FAN 확 인.
연속덤블러
  1. FAN MOTOR를 구동하는 인버터의 출력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실재 모터의 회전수는 출력 주파스에 30을 곱하여 알 수 있습니다. 즉, 65.00Hz 설정시 실재 모터의 회전수는 1950rpm입니다.
  3. FAN MOTOR의 속도는 각 챔버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에서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메인FAN 주파수 설정 제한] 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관리자 암호 입력창이 열립니다.
  • 연속덤블러
  • 관리자 암호를 입력하면 다음창이 열립니다.

  • 연속덤블러
  • 최소 설정 값은 버너와 관련이 있으며 최고 설정 값은 모터의 과부하와 관련이 있으므로 쓸데 없이 작거나 큰 설정 값은 정상적으로 기계를 사용하지 못 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 FAN의 속도가 일정 이하의 속도일 때 버너가 작동하지 않거나 과열될 수도 있습니다.
  • 속도가변 누름스위치 1회 누름시 속도변화량(기본값: 30)은 숫자가 클 수록 많아 집니다.
  • SPEED METER CALIBRATION : 속도계의 표시 값을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CALIBRATION 값을 변경합니다.

  • 2. 조작박스에 설치된 터치 스크린 화면

  • 다음은 각 챔버마다 설치된 조작박스의 터치 스크린에 관한 설명입니다.

  • 연속덤블러
    1. 현재 무게를 나타냅니다. 메인판넬에 설치된 전자저울의 무게 값을 표시합니다. 통신으로 읽어와 표시를 하므로 1~2초 정도의 시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현재 전자저울에 설정된 상한 값과 하한 값을 표시합니다. 작업자가 설정하는 ⓷항의 무게 값과 1~2,3초 시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3. 작업자가 설정하는 상한 값과 하한 값입니다. 위 ⓶항의 전자저울에 입력되어 있는 상한 값과 하한 값과의 시차가 생길 수 있으므로 설정 시 유의하십시오. 설정시 상한 값은 하한 값보다 무조건 커야함에 주의하십시오. 이는 위 ⓶항의 전자저울에 입력되어있는 상한 값과 하한 값과 연관이 있습니다. 입력 중 에러가 발생되면 반드시 에러가 발생하기 직전의 상태로 전환하여 재입력 하여야 합니다.
    4. [SETUP] 버턴을 누르면 FAN 속도 설정과 버너를 이용한 온도제어기 설정 화면으로 전환됩니다.
    5. 확인 아이콘을 누르면 설비의 현재 속도 표시창이 나타납니다.
    6. 챔버 1번 터치스크린에만 나타납니다. 입구 MASTER 전자저울의 무게 값을 나타냅니다.
    7. 작업등 ON/OFF , 크리너 자동/수동 그리고 입구롤러와 출구롤러를 ON/OFF 할 수 있습니다.
    8. 입구롤러와 출구롤러의 아이콘이 ON 되어 있을 때만 “작업시작” 스위치를 누르면 작동합니다.

  • 위 4항의 [SETUP] 버턴을 누르면 표시되는 "FAN 속도 설정"과 버너를 이용한 "온도 제어" 창에 관한 설명입니다.

  • 연속덤블러
    1. FAN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의 출력 주파수를 설정합니다. 65.00Hz를 설정하면 실재 FAN 모터의 회전수는 30을 곱한 1950rpm입니다. 출력주파수와 출력전류를 모니터 할 수 있습니다.
    2. [ON] 과 [OFF]버턴으로 FAN을 ON/OFF 할 수 있습니다. 단, 버너가 작동 중일 때는 FAN을 OFF할 수가 없습니다.
    3. 챔버 내부 온도를 표시합니다.
    4. 챔버 내부온도를 설정합니다. 표시창을 터치하여 나타나는 텐키(TEN-KEY)를 통해 온도를 설정합니다.
    5. [ON] 과 [OFF]버턴으로 버너를 ON/OFF 할 수 있습니다. 단, FAN이 작동하여 일정 주파수 이상의 출력이 나와 정상적인 풍량이 나올 때만 버너를 ON 할 수가 있습니다.
    6. 온도계의 “출력량”은 버너가 운전 중일 때 버너 제어 량이 % 단위로 표시됩니다.
    7. 집진기와 배기#1 ~ 배기#4 의 운전상태를 모니터 합니다. ON/OFF는 “메인 판넬”에서 만 가능하니다.
    8. 홈 아이콘을 누르면 주화면으로 이동합니다.

    3. 버너 콘트롤러

    4. 설 치 사 진

    연속덤블러
    연속덤블러
    연속덤블러
    연속덤블러
    연속덤블러
    연속덤블러
    연속덤블러